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시농부28

도시 텃밭 - 모종 정식 10주차 : 가을농사 준비 & 초간단 공심채 볶음 만들기 장마가 지나고 입추도 지났지만 아직 무더위는 맹렬하게 초보 농부를 위협합니다. 하지만 저는 벌써 초겨울에 담글 김장을 준비합니다. 고추, 방울토마토, 공심채 등 여름에 기르던 작물들을 계속 키우면서 밭의 일부에만 김장채소를 심는 방법도 있을 테고, 사실 그렇게 다양한 작물을 기르는 텃밭지기분들이 더 많을 겁니다. 한 작물로 텃밭을 뒤덮으면 수확시기도 한꺼번에 닥쳐오고, 아무리 이 방법 저 방법으로 요리를 해도 결국 밭주인의 입만 가지고는 다 먹을 수 없거든요. 하지만 김장 담글 때 쓰는 '포기'를 기본 백 단위로 헤아리는 집에서 자란 저는 도시 텃밭 경작이 처음입니다. 첫 김장채소 농사의 풍흉을 섣불리 가늠할 수 없지요. 그래서 아예 김장무 밭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애당초 김장배추 모종과 김장무 .. 2024. 8. 12.
도시 텃밭 - 파종 후 19주차, 모종 정식 9주차 : 드디어 공심채 수확 도시 텃밭을 시작한 지 벌써 19주째입니다. 처음 텃밭을 시작하면서는 모든 작물을 씨앗 파종으로 심었는데요. 그때 심은 작물들은 이제 모두 퇴장하고 이제 도중에 모종을 심은 작물들(고추 2종, 대추방울토마토 2종)과 공심채, 시금치만 남았습니다.모종 정식 54일, 공심채 파종 58일, 시금치 파종 50일 후일단 시금치 이야기부터 할까 합니다. 여름 시금치는 씨앗 파종 후 한 달이면 다 자라서 수확해 먹을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사시사철 재배 가능한 시금치 종자를 심으면 연중 언제든 시금치를 심어 먹을 수 있지만, 그 '언제든'에 해당하지 않는 두 시기가 있었으니 바로 한겨울과 장마 기간에는 시금치를 심어도 원활하게 수확해 먹기 어렵다고 보았었지요. 그래도 혹시나 하고 장마를 앞두고 시금치를 심었습니다. .. 2024. 8. 4.
도시 텃밭 - 파종 후 18주차, 모종 정식 8주차 : 잡초의 꽃말은 장마 17주차 텃밭일기는 없습니다. 17주차에는 텃밭에 한 번도 못 갔기 때문이지요. 본격적인 장마철에 개인적으로 바빠진 일정까지 겹쳐 지난 한 주 동안에는 텃밭에 걸음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장마철에는 잡초가 작물보다 더 빠르고 튼튼하게 자란다는 이야기를 누누이 듣게 되니, 못 가는 만큼 걱정이 커진 한 주였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파종 후 18주차. 잡초를 제거하겠다는 일념 하에 아침 일찍 채비를 하고 밭으로 갔습니다. 들깻잎 파종 125일, 모종 정식 47일, 공심채 파종 51일, 시금치 파종 43일 후오랜만에 들른 텃밭. 상상 이상으로 무성하게 우거진 밭을 보고 놀랐지만 놀라 서있는다고 잡초가 달아나진 않습니다. 가까이 다가가보니 그래도 잡초들 사이에서도 대추방울토마토들이 노랗고 빨갛게 물들었고, 고.. 2024. 7. 28.
도시 텃밭 - 파종 후 16주차, 모종 정식 6주차 : 이 곳은 텃밭인가 잡초밭인가? 내가 산 모종은 풋고추 모종인가 안 풋고추 모종인가? 언제나 그렇지만 특히 장마철에 텃밭을 가꾸는 일은 참 쉽지 않습니다. 덥고 습한 날씨에, 기후위기로 예보를 비껴가는 호우가 잦고 심해지는 요즘은 며칠만 밭에 못 가도 그냥 잡초밭이 되고 말지요. 들깻잎 파종 107일, 모종 정식 39일, 공심채 파종 33일, 시금치 파종 25일 후잡초를 뽑으러 밭에 잠깐 들렀습니다. 며칠 만에 갔더니 뽑는 게 아니라 걷어내는 수준으로 작업해야 하는 상태가 되었더군요.일찍이 심어둔 공심채 두둑 외에는 시금치 두둑과 공심채 두둑에 작물보다 잡초가 더 많아 보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사실이기도 합니다. 🥹) 그래도 대추방울토마토는 조금씩 색을 입고 있네요. 볕도 잘 안 들고 빗물이며 습도며 때때로 바람마저 과한 장마철이라 쉽지 않을 텐데 그래도 부지런한 모습이 대견하고 미안합.. 2024. 7. 15.
반응형